학회소식         회원동정

[스크랩] 한국수력원자력, 작년 사상최대 발전량…차세대 원전기술 개발도 전력 다해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79
한국수력원자력 사옥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사옥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난해 사상 최대 발전량(188TWh)을 달성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는 국내 전력 거래량의 약 32.6%에 해당하는 양으로, 한수원 측은 "안정적이면서도 저렴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물가 안정에 이바지함은 물론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됐다"고 자평했다.

한전의 이 같은 평가에는 타 에너지원 대비 저렴한 원자력의 발전 단가에 있다. 지난해 기준 원자력 단가는 66.4원으로 석탄 143.6원, 액화천연가스(LNG) 175.6원에 비해 절반 이상 수준으로 저렴했다. 특히 LNG 대비 약 9024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효과도 있었다.

한수원은 현재 원전 26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원전의 지난해 이용률은 83.8%로 지난 9년 내 최고 기록이다. 인공지능(AI)을 적용한 고지능형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과 실시간 재난감시 시스템 고도화 등으로 원전운영 체계 수준을 끌어올리고 인적행위 분석 체계 도입 등을 통한 인적 오류 예방 노력 등을 펼친 결과다.


아울러 한수원은 현재 전국 모든 원전의 실시간 운영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황실을 본사에서 운영 중이다. 발전소 이슈가 발생하면 상황실에서 24시간 교대근무 중인 원전 전문가들이 발전소 현장 운전원들과 함께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 정지를 예방하고 있다.

특히 한수원은 원자력발전에 요구되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름과 겨울 전력 피크기에는 기저 발전원으로서 최대 출력으로 발전하며 최대 전력량을 공급하고, 봄과 가을 전력 수요량이 많지 않을 때는 출력을 제어하며 전력계통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력 피크기 한수원은 전력수급대책 태스크포스(TF)를 24시간 운영하며 감시 체계를 강화했다. 경영진 주관으로 모든 원전을 특별 점검하고 필요한 설비는 선제적으로 교체해 피크기 발전소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또 계획 예방 정비 후 재가동에 돌입하는 원전의 안정적인 재가동을 위해 분야별 재가동 지원팀을 운영하는 등 안정적인 전력 수급에 최선을 다했다.


반면 태양광 발전량이 증가하는 봄·가을철에는 출력 감소 요구에 대비해 긴급 출력 감소 비정상 상황을 가정한 모의훈련 등을 실시했다. 또 각종 중요한 변수를 미리 계산해두는 등 긴급 상황에도 안전하게 출력을 낮출 수 있는 사전 준비를 갖췄다. 한수원 관계자는 "관계기관 및 부서들과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해 전력 수요 및 연계된 송전선로의 전기 흐름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했다"며 "언제 발생할지 모를 출력 감소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지난해 4월 신한울 1·2호기를 종합 준공하고 9월에는 신한울 3·4호기 건설허가를 취득해 국가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원전 건설에도 역량을 모으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은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해 모두 4기다. 새울 3·4호기는 내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자력은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발전원으로 전 세계 국가들이 탄소중립 시대와 전력 수요 확대에 대비해 확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COP28에서 미국을 비롯한 세계 22개 국가가 화석연료 소비를 축소하기 위해 2050년까지 원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겠다고 선언했다.

한수원도 차세대 원자력발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지난 1월 노르웨이 민영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사 노르스크 슈레네크레프트 등을 찾아 업무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한수원은 노르웨이의 선도적인 SMR 기업들과 SMR에 기반한 탄소중립 도시, 스마트 넷제로 시티 모델 개발 등 다방면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황 사장은 "국가 에너지안보를 지키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안전한 발전소 운영과 건설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강인선 기자]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11278480


목록